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통일부 정례브리핑

2025.03.24 구병삼 대변인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안녕하십니까? 통일부 정례브리핑 시작하겠습니다.

먼저, 이번 주 일정입니다.

통일부 장관은 3월 25일 화요일 오전 10시 국무회의에 참석합니다.

통일부 차관은 3월 27일 목요일 오전 9시 30분 차관회의에 참석합니다.

모두에서 드릴 말씀 여기까지입니다. 현안에 대해 질문 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질문·답변]
※마이크 미사용으로 확인되지 않는 내용은 별표(***)로 표기하였으니 양해 바랍니다.

<질문> 오늘 북한 외무성 산하 군축 및 평화연구소에서 한미 연합연습 비난하는 담화 냈는데 역시 의도나 배경을 어떻게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최근 한미 연합훈련과 미국의 전략자산 전개 때마다 북한은 억지 주장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북한의 적반하장식 억지 주장에 대해서 일일이 대응하거나 평가하지 않겠습니다.

<질문> 대변인님, 안녕하세요? 최근에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서기의 방북과 관련해서요. 북·러 간의 포로 송환 문제라든지 아니면 추가 파병 또는 정상회담 등 다양한 사안이 논의됐을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는데 통일부에서는 이번 쇼이구 방북과 관련해서 전체적으로 어떻게 평가하시는지 말씀 부탁드리고요.

그리고 어떤 의지가 또 오갔던 것으로 분석하고 계시는지도 말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쇼이구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서기가 지난 3월 21일 당일 일정으로 방북하여 김정은 위원장을 접견하였으나 협의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쇼이구 서기의 방북은 루덴코 외무차관 방북 후 불과 4일 만에 이루어진 것으로 시기상으로나 일정상으로나 이례적인 것으로 보입니다.

쇼이구 서기가 국방장관이던 2023년 7월 북한의 전승절 열병식에 참석한 직후인 그 해 9월에 김정은 위원장이 러시아를 방문하여 북·러 정상회담을 개최한 바 있습니다. 그리고 작년 9월 쇼이구 서기가 방북한 이후에 그다음 달부터 북한의 러시아 파병이 본격화된 점을 고려할 때 이번 방북에서도 양자 간 주요 협의가 있었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상황을 엄중하게 주시하고 있습니다. 다만, 양자 간 협의사항은 당사자들이 밝히지 않은 이상 예단하지 않겠습니다.

<질문> 안녕하세요? 방금 말씀 중에 쇼이구 서기의 이번 방북이 시기상 그리고 일정상으로 좀 이례적이라고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인지 조금 더 보완 설명 부탁드립니다.

<답변> 시기적으로는 지금 직전에 루덴코 외무차관이 방북하였습니다. 불과 4일 만에 이루어진 것이라서 시기상을 말씀드렸고 일정상으로는 당일 일정으로 방북하였습니다. 이 또한 북한과 러시아 간의 거리를 고려할 때 이례적으로 보입니다.

<답변> (사회자) 추가 질문 없으시면 이것으로 브리핑을 마치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끝>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