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범부처 기술사업화 생태계 창출…딥테크 연구소기업 500개 육성

관계부처 합동 '국가 기술사업화 비전 선포식' 개최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출연연구기관과 대학 등 공공의 연구개발(R&D) 성과가 신산업 발전·고용창출로 빠르게 이어지도록 정부가 기술사업화 생태계 조성에 적극 나선다.  

3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교육부, 중소벤처기업부, 식품의약품안전처, 우주항공청, 질병관리청 등 관계부처는 국가 기술사업화 비전 선포식을 갖고 '국가 R&D 기술사업화 추진방향'을 발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은 30일 '국가 기술사업화 비전 선포식'을 열고 '국가R&D 기술사업화 추진방향'을 발표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하며 지난 4일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 개막식에서 자율주행 순찰로봇의 모습.(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은 30일 '국가 기술사업화 비전 선포식'을 열고 '국가R&D 기술사업화 추진방향'을 발표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하며 지난 4일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 개막식에서 자율주행 순찰로봇의 모습.(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공공기술의 사업화 촉진

먼저, 출연(연)을 기술사업화 거점으로 육성한다.

기술사업화 연구개발(R&D) 투자를 확대하고, 기술사업화 관련 인사, 평가 등의 인센티브를 강화하는 한편, 기술사업화 전담조직(TLO)을 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협력·특성화한다.

대학의 기술사업화 역량을 강화한다.

지역혁신중심대학지원체계(라이즈, RISE) 전면 시행을 계기로 대학의 기술사업화 활동을 지원하고, 대학 기술지주회사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는 한편, 과학기술원은 우수특허를 조기 발굴하고 미활용특허에 대한 관리를 강화한다.

기술사업화 종합전문회사를 육성한다.

대학·출연연이 창출한 기술을 발굴하고 창업으로 연계하며, 창업보육 및 후속투자까지 공공기술의 전주기 사업화를 지원한다.

◆기술창업 및 기업성장 지원

공공기술기반 창업지원을 확대한다.

전주기 실험실 창업지원 체계를 확립하고, 창업유망기술을 보유한 혁신창업실험실을 지원한다.

아울러, 연구자와 경영인의 협력창업 모델을 확대하며, 딥테크 연구소기업을 2030년까지 500개 육성한다.

기업대상 지원을 강화한다. 

전략기술분야 우수 대학연구소가 연구개발역량과 전문인력을 지원하고, 출연연구기관은 연구 노하우 및 시설·장비 등을 지원하는 한편, 보건의료 분야에서는 공백영역 기술서비스를 제공한다.

전주기 금융을 지원한다.

공공기술 사업화 펀드를 조성하고 관계부처와의 협력을 통해 우수기업에 대한 정책금융 지원을 강화하고, 중소벤처기업부를 중심으로 사업화 유망기업에 대한 기술금융 지원도 강화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은 30일 '국가 기술사업화 비전 선포식'을 열고 '국가R&D 기술사업화 추진방향'을 발표했다. 사진은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이 지난 3월 열린 '기술창업 청년 대표와의 기술사업화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는 모습.(ⓒ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은 30일 '국가 기술사업화 비전 선포식'을 열고 '국가R&D 기술사업화 추진방향'을 발표했다. 사진은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이 지난 3월 열린 '기술창업 청년 대표와의 기술사업화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는 모습.(ⓒ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국가 기술사업화 플랫폼 혁신

먼저, 범부처 정책연계를 강화한다.

민관합동 협의체를 구성해 부처 협업, 민관협업 등을 논의하고 부처 간 연구개발사업 연계를 확대한다. 

수요-공급 매칭도 강화한다.

부처별 기술매칭 플랫폼 간 연계를 강화하고, 기업부설연구소 대상 공공기술 및 인력 지원을 확대한다.

기술 중개전문가를 확대해 우수 공공특허의 민간 이전을 촉진한다.

제도 개선과 연구자 사기 제고에도 나선다. 

범부처 평가위원 풀에 산업계 전문가를 1만 3000명 이상으로 확대하고, 연구자에 대한 보상 강화를 추진하는 한편, '기술개발인의 날'을 법정기념일로 지정하는 것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주요 기술분야별 맞춤형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정보통신기술(ICT) 분야는 연구개발사업의 성과 연계를 강화하고, 바이오분야는 부처 협업 전주기 프로젝트를 확대한다.

소재·제조분야는 산업계 협력을 강화하고 원천기술 성장을 지원한다.

정부는 이날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가칭국가R&D 기술사업화 전략(안)'을 수립할 계획이다.

문의: <총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성과확산촉진과(044-202-4693, 4694)

하단 배너 영역